사진 이야기

[사진노트] 플래시

데벨로페 2025. 2. 9. 18:18

 

필라이트(보조광) : 그늘진 부분을 밝혀준다.

 

보조조명의 조건 : 배경보다 더 연한 조명을 써야 보조 조명이 된다.

엠비언트와 플래시가 모두 적정노출이면 밋밋한 사진이 나온다.

배경과 피사체는 최소 1스탑 차이가 나야 한다.

배경과 피사체를 분리해서 보는 습관을 기르자.

 

주조명과 보조조명의 비율 (왼쪽부터) 1:1, 1:2, 1:4, 1:8

 

 

 

수동 플래시 노출법

가이드넘버=피사체까지의 거리X조리개값

ex) 58(가이드넘버)=16(거리)X3.8(조리개값)

 

내가 가진 플래시의 풀파워

1) 1/1

2) 줌* 최대시 105

3) ISO 100

*줌 숫자가 높을수록 플래시가 약하다. 

줌 숫자가 낮을수록 플래시가 강하다. 

 

<촬영 순서>

1. 엠비언트의 노출 값을 먼저 잡는다. 

2. 피사체는 플래시로 조절한다.

3. 발광량을 최소화해서 찍어본다. 

 

4. 사진이 밝을 시 -> 발광량을 내린다.

5. 사진이 어두울 시 -> 발광량은 냅두고 노출을 올린다. 

6. 노출을 더 올릴 수 없으면 발광량을 올린다. 

 

* 촬영 전 카메라의 노출과 플래시의 노출을 몇대 몇으로 정할지 구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카메로 노출을 90%에 맞추고, 플래시의 광량은 10%로 맞추어 필라이트로 쓰겠다.

반대로 카메라 노출을 20%에 맞추고 플래시는 80%로 맞추어 키라이트로 쓰겠다.

 

엠비언트는 -> 셔터로 조절한다.

조리개, 후레시는-> 등가노출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노을진 배경에서 사진을 찍을 때

노을과 후레시를 1: 1 비율로 맞춘다.

노을을 어둡게 하려면 셔터스피드를 빠르게 한다.

노을을 밝게 하려면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한다.

 

노을은 적정인데 피사체의 밝기를 조절하고 싶으면

조리개를 열고 셔터를 닫는다(등가노출을 이용한다)

 

<역제곱의 법칙>

거리가 2배로 늘어나면 2스탑씩 강해지거나, 2스탑씩 약해진다.

 

<연습 1>

광량 1/128

조리개는 그대로 두고 셔터스피드만 조절

 

궁금한 점 : 플래시를 켠 상태에서는 셔터스피드를 내려도 사진이 흔들리지 않는가? 

 

<연습 2> 

광량 1/16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를 함께 조절

 

 

 

 

 

 

 

'사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노트] 인물촬영 라이팅 기법  (2) 2025.03.20
[사진노트] 광선의 방향  (0) 2025.02.05
삿포로  (0) 2025.02.04
야경 연습  (0) 2025.02.04
[사진노트] 빛 조절  (0)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