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

[사진노트] 인물촬영 라이팅 기법

1. 파라마운트 조명  (Paramount Lighting)  - 정면(머그샷) - 눈 밑에 그림자가 생긴다.  - 코 아래 나비모양 그림자가 생긴다. (버터플라이 Butterfly) - 피부가 햐얗고 뽀얗게 나온다.  - 얼굴이 동그랗게 나오기 때문에, 얼굴이 뾰족한 사람에게는 장점, 넙대대하면 주의 - 광대가 더욱 도드라지는 효과  2. 루프 조명 (Loop Lighting)  - 조명이 머리 위로 비취지기는 하나 약간 좌우로 치우쳐 있다.  - 코 옆으로 동그란 타원형 그림자가 붙는다.  - 조명 반대편 눈 밑에 조명이 세로로 쭉 이어진다.  - 얼굴이 전체적으로 밝게 나타난다.  - 갸름한 얼굴형을 만든다.  3. 램브란트 조명 (Rambrandt Lighting)  - 얼굴 한쪽 면에 역삼각형이..

사진 이야기 2025.03.20

[사진노트] 플래시

필라이트(보조광) : 그늘진 부분을 밝혀준다. 보조조명의 조건 : 배경보다 더 연한 조명을 써야 보조 조명이 된다.엠비언트와 플래시가 모두 적정노출이면 밋밋한 사진이 나온다.배경과 피사체는 최소 1스탑 차이가 나야 한다.배경과 피사체를 분리해서 보는 습관을 기르자.    수동 플래시 노출법가이드넘버=피사체까지의 거리X조리개값ex) 58(가이드넘버)=16(거리)X3.8(조리개값) 내가 가진 플래시의 풀파워1) 1/12) 줌* 최대시 1053) ISO 100*줌 숫자가 높을수록 플래시가 약하다. 줌 숫자가 낮을수록 플래시가 강하다.  1. 엠비언트의 노출 값을 먼저 잡는다. 2. 피사체는 플래시로 조절한다.3. 발광량을 최소화해서 찍어본다.  4. 사진이 밝을 시 -> 발광량을 내린다.5. 사진이 어두울 시..

사진 이야기 2025.02.09

[사진노트] 광선의 방향

1. 순광피사체 정면에서 비추는 빛균일한 조명이 비추어 섀도우가 적다. (입체감이 없어 얼굴이나 표현이 평범하게 나온다. 인물 촬영보다 광대한 빛을 정면으로 담아 표현하는 풍경사진이 더 유용하다. 그림자가 거의 안 보인다.  2. 사광피사체의 45도 앞쪽에서 빛이 비춘다. 따라서 피사체에 들어오는 빛이 측면 방향이라 한쪽면에 빛이 옆으로 들어온다.  때문에 한쪽면은 밝고 한쪽면은 어둡게 처리되어 입체감 있는 사진이 나온다. 창문 옆에서 찍으면 가장 좋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부드러운 분위기를 낸다.  3. 측광모델의 좌우 측면에서 빛이 들어온다. 강한 섀도우를 만들기 때문에 개성있는 인물 촬영이 가능하다. 콘트라스트가 강하기 때문에 보조광이나 반사판을 이용해 콘트라스트의 차를 줄여줄 수도 있다. ..

사진 이야기 2025.02.05

[사진노트] 빛 조절

빛의 성질 1. 밝기 그림자 안의 밝기와 맑은 날의 밝기가 다르다 ​ 2. 온도 새벽의 그늘(차갑다) 노을진 태양(뜨겁다) ​ 3. 명암 대비 흐린 날 그늘로 가면 콘트라스트가 약하다 맑은 오후 직사광선으로 가면 콘트라스트가 강하다 ​ 4. 방향 빛이 들어오는 방향이 다르다 ​ 5. 직사광 직사광으로 떨어지는 빛 ​ 6. 확산광 반사판이나 구름 등 거름막을 끼고 들어온 빛이 분산되어 빛의 성질이 바뀐다 ​ ​ 흰 옷에 적정 노출을 맞추면 얼굴이 어둡게 보인다 ..

사진 이야기 2025.02.03

[사진노트] 측광 방식과 화이트밸런스

측광 방식스팟으로 초점을 맞춰서 스팟 안의 피사체 밝기를 통해 노출을 맞춘다.ex) 피사체 중 흰색의 피사체를 찾아 +2로 맞춤​노출계가 보는 밝기의 톤노출 보정 세팅 : 0을 기준으로 +2는 흰색 -2는 검은색으로 정한다. ​ 같은 장면을 노출 부족(-1~2스톱)/노출 과다(+1~2스톱)로 촬영해 더 어둡거나 밝은 여분의 사진을 얻는 것 ​​​화이트밸런스​"어떤 조명 아래에서도 흰색을 흰색처럼 보이게 하는 것"​실제 조명 켈빈 온도2000K-3000K: 따뜻한 흰색/노란색 빛3100K-4500K: 화사하고 시원한 화이트 빛4600K-6500K: 선명한 일광(흰색/블루색)을 발산​​​태양광(5000K) : 맑은 하늘 아래 실외 촬영시그늘(7000K) : 맑은 날 그늘진 곳에서 촬영시텅스텐광(3200K):..

사진 이야기 2025.02.03

[사진노트] 노출의 3요소

1. ISO ​" 빛의 민감도" ISO 감도는 카메라 센서에 얼마나 빛을 노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요소다. 즉 센서에 미치는 민감도에 따라 사진의 노출에 영향을 준다.25, 50, 64, 100, 125, 160, 200, 320, 400, 800, 1600, 3200, 6400 .....← 저감도 고감도 →ISO 저감도ISO 고감도수치가 낮을수록 빛에 둔감하게 반응한다수치가 높을수록 빛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노이즈가 적다수치가 높을수록 노이즈가 발생한다수치가 낮을수록 어두워진다수치가 높을수록 밝아진다​2. 조리개 값 (F값)​" 빛의 양을 조절" 조리개는 빛이 통과하는 구멍의 크기다. 흔히 안구의 동공으로 비유한다. 직경이 넓어지면 빛이 많이 들어오고, 직경이 좁아지면 빛이 적게 들어온다..

사진 이야기 2025.02.03